[아시아경제 김동표 기자]미국 행정부가 바뀌는 시점에서 북한이 우주과학기술토론회를 열고 인공위성과 장거리 로켓 개발에 대한 의지를 간접적으로 드러냈다.
조선중앙통신은 2일 "조선과학기술총연맹 중앙위원회 주최로 '우주과학기술토론회-2020'이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인공지구위성분과' 토론회가 별도로 열려 위성과 부품의 수명, 안전성, 동작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자료가 전문가의 관심을 끌었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외에도 우주관측ㆍ기초과학분과, 우주재료ㆍ요소분과, 응용기술분과 토론회가진행됐고, 170여 건의 논문이 발표됐다.
통신은 "평화적 우주개발 정책을 관철하기 위한 사업에서 이룩된 과학기술 성과를 널리 소개하고 보급ㆍ일반화하며 우주과학기술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동할 목적"이라고 개최 배경을 설명했지만, 분과 토론회까지 열고 인공위성을 강조한 만큼 장거리 로켓 개발 의지를 간접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인공위성을 탑재한 경우를 포함해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로켓을 쏘아 올리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릴 때 사용하는 발사체 기술이 대륙간 탄도미사일 기술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북한은 인공위성을 쏘겠다며 2012년 12월에 은하 3호를, 2016년 2월에는 '광명성'을 쏘아 올렸다. 군당국은 '광명성'과 '은하3호'는 동일한 발사체로 보고 있다.
또 이들 발사체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은 기체와 추진기관, 유도조정장치 등 핵심기술을 공유하기 때문에 재진입체 기술 등 일부 기술만 보완하면 우주발사체를 ICBM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즉, 북한이 겉으로는 위성발사를 위한 발사체 시험이라고 주장하지만 사실상 ICBM발사를 위한 사전시험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북한은 '평화적 우주개발'을 내세우며 인공위성 발사를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끊임없이 피력해왔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조 바이든 미국 새 행정부가 들어설 예정인 가운데 열려 주목된다. 북한은 2014년 우주과학기술토론회를 처음 개최했으며, 2016년에는 조선우주협회를 출범시켰다. 매년 토론회를 개최했지만,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렸던 2018년에만은 별다른 설명 없이 토론회를 개최하지 않아 북미관계 변화를 의식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December 02, 2020 at 05:38AM
세계
No comments:
Post a Comment